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3년 공무원 연금 인상률 알려드릴게요

반응형

새해가 밝아오면 많은 분이 관심을 갖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최저임금 인상률 그리고 본인의 월급 인상률이지요!

 

 2023년 최저임금은  9,620원 입니다 이를 월급으로 환산할 경우 1주당 소정근로 40시간을 기준(유급 주휴 포함)으로 계산, 월 209시간 근무시간 기준으로는 총 2,010,580원으로 계산할 수 있겠습니다.

 

2023년 최저임금 주휴수당 포함 계산

2023년 최저임금 9,620원
주급 461,760원
월급 2,010,580원
연봉 24,126,960원
월 실수령액 1,815,250원
연봉 실수령액 21,783,000원

참고로 실수령액 계산 시 주휴수당을 포함하여 계산 했으며 하루 8시간, 주 5일 근무 기준, 주휴 시간 35시간을 포함해 월 209시간의 소정근로시간 으로 생각해서 계산했습니다 

 

2023년 공무원 봉급표 최저임금 보다 적다!

5급
6급
7급
8급
9급
1호봉
2,606,400
2,150,200
1,929,500
1,720,300
2호봉
2,711,700
2,250,200
2,017,500
1,803,900
3호봉
2,821,100
2,353,400
2,110,700
1,892,000
4호봉
2,934,700
2,458,800
2,208,700
1,982,000
5호봉
3,051,300
2,567,400
2,310,100
2,075,500
6호봉
3,170,300
2,679,000
2,414,000
2,171,300
7호봉
3,291,100
2,790,900
2,518,500
2,267,400
8호봉
3,413,400
2,903,100
2,623,800
2,359,800
9호봉
3,536,100
3,015,700
2,723,900
2,447,900
10호봉
3,659,700
3,121,300
2,819,500
2,531,300
11호봉
3,775,100
3,221,500
2,909,600
2,612,000
12호봉
3,886,500
3,320,200
2,998,200
2,690,900
13호봉
3,992,200
3,412,900
3,082,300
2,766,700
14호봉
4,090,800
3,500,500
3,162,600
2,839,100
15호봉
4,183,900
3,584,800
3,239,400
2,908,700
16호봉
4,271,500
3,663,600
3,312,000
2,975,900
17호봉
4,353,900
3,738,800
3,381,700
3,038,600
18호봉
4,431,700
3,810,000
3,448,400
3,099,400
19호봉
4,505,000
3,877,600
3,511,200
3,157,800
20호봉
4,573,700
3,941,100
3,571,000
3,213,500

2023년 공무원의 봉급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위 사진에는 일반직 공무원의 봉급표입니다.

2023년 공무원 봉급표에 따르면 2023년도에는 2022년 보다 1.7% 인상했습니다.

이번 연도 9급 1호봉의 월급부터 살펴보면 1,720,300원으로 확인됩니다. 그럼 200만 원이 넘는 월급을 받으려면 9급 몇 호봉이 되어야 할까요? 9급 5호봉이 되어야 합니다.

반응형

그러면 공무원 호봉은 어떻게 해야 오를까요?

공무원 호봉이 오르려면 9급은 1년 6개월 이상 근무해야 하고 7급 및 8급은 2년 이상 근무해야 하고 6급은 3년 6개월 이상5급은 4년 이상 4급은 3년 이상 3급은 2년 이상 근무해야 합니다.

 

구분
2023년
2022년
2021년
최저임금
2,010,580원
월 1,914,440원
월 1,822,480원
공무원 기본급
월1,715,171원
월1,686,500원
월 1,659,500원

최저임금과 공무원 봉급표를 비교해봤을 때 공무원 봉급은 최저임금에 비해 적은 액수입니다.

하지만 공무원은  기본급 외에도 많은 수당을 받고있습니다. 공무원 수당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공무원 봉급표와 더불어 함께 봐야할   하나인 공무원 수당표입니다.

 

공무원 수당은 공무원에게 지급되는 보수 중의 일부로서 직무여건 및 생활여건 등에 따라 지급되는 부가급여를 말합니다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5개 분야 14종으로 구분되며,  동 규정은 실비변상 4종도 함께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든 공무원이 매번 받는 수당은 직급보조비, 정액급식비가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 9급공무원이시라면, 본봉+직급보조비+정액급식비를 합친 게 우리가 말하는 평소 월급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공무원 수당 종류 총 18종 입니다.

상여수당(3종)

  1. 대우공무원수당: 상위직급의 대우공무원으로 선발된 공무원에게 지급
  2. 정근수당: 근무연수에 따라 지급
  3. 성과상여금: 근무실적 등이 우수한 사람에게 지급

가계보전수당(4종)

  1. 가족수당: 부양가족이 있는 공무원에게 지급
  2. 자녀학비보조수당: 고등학교에 다니는 자녀가 있는 공무원에게 지급
  3. 주택수당: 군인 및 재외공무원에게 지급
  4. 육아휴직수당: 육아휴직한 공무원에게 지급
  5. 특수지근무수당: 교통이 불편하고 문화·교육시설이 거의 없는 지역이나
  6. 근무환경이 특수한 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원에게 지급

특수근무수당(4종)

  1. 위험근무수당: 위험한 직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에게 지급
  2. 특수업무수당: 특수한 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에게 지급
  3. 업무대행수당: 병가·출산휴가·유산휴가·사산휴가,
  4. 육아휴직 또는 공무상 질병휴직 중인 공무원의 업무 등을 대행하는 공무원에게 지급
  5. 군법무관수당: 군법무관에게 지급

초과근무수당등(2종)

  1. 초과근무수당: 5급 이하 공무원으로서 규정된 근무시간 외에 근무한 공무원에게 지급
  2. 관리업무수당: 4급 이상의 관리자에게 지급

실비변상등(4종)

  1. 정액급식비, 명절휴가비, 연가보상비, 직급보조비

 

2023년 공무원 연금 인상률 

연금 인상은 매년 통계청에서 고시하는 전전년도 대비 전년도 소비자물가 변동률에 따라 결정되는데요.

2022년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지수는 107.71(2020=100)로 전년대비 5.1% 상승했습니다.

 

이렇게 소비자물가 변동률에 따라 결정되는 연금은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군인연금 별정우체국 연금 이 대상입니다.

 

즉 2023년도 공무원연금 인상률은 5.1% 인상됩니다.

반응형